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트렌드, 인사이트32

크라우드 펀딩(Crowd Funding)이란? 펀딩 사이트는? 크라우드 펀딩(Crowd Funding)이라는 용어를 한 번쯤은 들어보셨을 텐데요, 크라우드 펀딩(Crowd Funding)이란 무엇인지 그 개념과 의미를 살펴보고 크라우드 펀딩 사이트에는 어디가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크라우드 펀딩(Crowd Funding)이란? 크라우드펀딩(Crowd Funding)이란 용어는 대중, 군중(Crowd)으로부터 자금을 조달받는다(Funding)는 의미에서 유래된 용어입니다. 크라우드 펀딩은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개인이나 단체에게는 다수의 개인들로부터 자금을 모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프로젝트에 투자하는 다수의 개인들에게는 프로젝트의 결과에 따라 투자에 따른 보상이나 가치를 제공하는 활동이라고 할 수 있는데 위키백과에서는 크라우드 펀딩을 아래와 같이 정의하고 .. 2023. 2. 9.
대한민국 중산층 소득기준과 중산층 인구비중 대한민국 사람들은 이런저런 기준으로 계층이나 유형을 분류하는 것을 즐기는데, 혈액형, MBTI, 수저론 등이 대표적인 것들 아닌가 싶습니다. 최근에는 대한민국 중산층 기준이 많은 이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고 해서 중산층의 소득기준과 자산기준, 그리고 그러한 인식들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중산층의 개념과 정의는 무엇일까? 중산층이라는 개념의 사전적 정의는 무엇일까요? 다음 어학사전에서는 중산층을 아래와 같이 정의하고 있습니다. 중산층 [中産層] : 재산을 가진 정도가 유산 계급과 무산 계급의 중간에 놓이는 계층 자본가와 같이 재산이 많은 계층을 유산 계급, 노동자나 빈농처럼 노동력으로만 생활하는 하층 계급을 무산 계급이라고 할 수 있으니 중산층이란 그 중간에 놓이는 계층으로 많은 재산을 가진 것은 .. 2023. 2. 7.
백종원의 예산 시장 살리기와 로컬 크리에이터(Local creator) 더본코리아의 대표이자 유명 방송인 백종원이 시장이 되겠다고 선언했습니다. 행정구역의 장이 아닌 전통시장을 살리는 '예산 시장 프로젝트'를 의미하는데요, 본인의 고향인 예산군의 전통시장을 리모델링하고 새롭게 재탄생시키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고 합니다. 백종원 씨의 유튜브에 공개된 이번 시장 재생사업에서 로컬 크리에이터(Local creator)의 의미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백종원의 시장 리모델링 예산 프로젝트 더본코리아 백종원대표의 예산형 구도심 지역 상생 프로젝트 요리연구가이자 유명 방송인 백종원 씨의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paik_jongwon)에 따르면 백종원씨가 본인의 고향인 충청남도 예산에서 구도심 전통시장을 재생하는 새로운 프로젝트를 선보일 예정입니다... 2023. 1. 12.
2022년 연령별, 세대별 국내에서 가장 인기있는 앱 10가지 2022년 한 해 동안 연령별, 세대별, 카테고리별 국내에서 가장 인기 있던 모바일앱, 가장 많이 사용된 앱은 무엇일까요? 모바일 시장조사 업체 와이즈앱·리테일·굿즈에서 발표한 자료를 참고하여 1년간 모바일앱 순위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2022년 국내에서 사람들이 가장 많이 사용한 앱 2022년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사용한 앱 1위는 카카오톡, 2위는 유튜브, 3위는 네이버, 4위는 쿠팡, 5위는 네이버 지도 순으로 조사되었습니다. 2022년 가장 많이 사용한 앱 1위부터 10위까지를 월평균 사용자 숫자와 함께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카카오톡 _ 4,690만 명 (작년 1위, 순위변동 없음) 유튜브 _ 4,498만 명 (작년 2위, 순위변동 없음) 네이버 _ 4,234만 명 (작년 3위, 순.. 2023. 1.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