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라우드 펀딩(Crowd Funding)이라는 용어를 한 번쯤은 들어보셨을 텐데요, 크라우드 펀딩(Crowd Funding)이란 무엇인지 그 개념과 의미를 살펴보고 크라우드 펀딩 사이트에는 어디가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크라우드 펀딩(Crowd Funding)이란?
크라우드펀딩(Crowd Funding)이란 용어는 대중, 군중(Crowd)으로부터 자금을 조달받는다(Funding)는 의미에서 유래된 용어입니다.
크라우드 펀딩은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개인이나 단체에게는 다수의 개인들로부터 자금을 모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프로젝트에 투자하는 다수의 개인들에게는 프로젝트의 결과에 따라 투자에 따른 보상이나 가치를 제공하는 활동이라고 할 수 있는데 위키백과에서는 크라우드 펀딩을 아래와 같이 정의하고 있습니다.
크라우드펀딩(crowdfunding)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해 소규모 후원을 받거나 투자 등의 목적으로 인터넷과 같은 플랫폼을 통해 다수의 개인들로부터 자금을 모으는 행위이다. '소셜 펀딩'이라고도 하나, 정확한 용어는 아니다.
주로 자선활동, 이벤트 개최, 상품 개발 등을 목적으로 자금을 모집한다. 투자방식 및 목적에 따라 지분투자, 대출, 보상, 후원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_ 출처: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D%81%AC%EB%9D%BC%EC%9A%B0%EB%93%9C%ED%8E%80%EB%94%A9)
크라우드펀딩(Crowd Funding)은 일반적으로 웹이나 모바일 네트워크를 통해 대중으로부터 자금을 모으는 방식이기 때문에 '클라우드 기술'을 떠올려서 클라우드 펀딩(Cloud Funding)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 정확한 용어는 크라우드 펀딩(Crowd Funding)으로 불특정 다수의 대중들에게 자금을 모으는 펀딩방식으로 정의됩니다.
크라우드 펀딩(Crowd Funding)의 유래와 종류
크라우드펀딩(Crowd Funding)의 유래와 역사
크라우드 펀딩의 역사는 1700년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데, 금융 소외지역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으로 소액대출의 형태에서 그 유래를 찾아볼 수 있다고 합니다.
우리에게 익숙한 현재와 같은 방식의 크라우드 펀딩은 2005년 영국의 ZOPA.COM(조파닷컴)의 대출형 크라우드 펀딩이나 2007년 영국의 크라우드큐브(crowdcube.com)의 증권형 크라우드 펀딩방식이 최초의 사례라고 합니다.
그러다가 2008년 미국에서 최초의 기부형(후원형)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인디고고(Indiegogo)가 출현하여 영화 제작을 시작으로 문화예술 영역에서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기금조성으로 저변을 넓혀갔습니다.
인디고고와 함께 등장한 킥스타터(Kickstater)>는 창업 기업들이 사업 초기자금을 대출형 크라우드펀딩 방법이 아닌 선주문 방식으로 모을 수 있게 한 최초의 플랫폼으로 활동하였는데, 이러한 다양한 사례들이 나타나면서 크라우드펀딩(Crowd Funding)이 일반화되었습니다.
크라우드펀딩(Crowd Funding)의 종류
크라우드 펀딩은 그 종류에 따라 후원형, 기부형, 대출형, 증권형 등 네 가지 형태로 구분됩니다.
후원형
후원형은 특정한 프로젝트가 런칭할 수 있도록 다수의 후원자들이 시드머니를 후원하는 방식으로, 자금 목표를 설정해 두고 대중들의 후원금으로 목표금액을 달성하면 프로젝트 런칭이 성공되는 방식입니다.
자금을 후원한 대중들은 금전적 보상 이외의 형태로 리워드를 제공받는 경우가 많으며, 주로 공연, 음악, 영화 등의 예술분야나 교육, 환경 등의 분야에서 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기부형
기부형은 후원형과 유사하게 프로젝트 런칭을 위해 다수의 후원자들이 기금을 모으는 방식이지만, 보상을 조건으로 하지 않고 순수한 기부 목적으로 지원하는 방식이라는 특징이 있습니다. 사회문제 해결이나 사회적 약자에 대한 지원을 목적으로 한 비영리 프로젝트에 활용됩니다.
대출형
대출형은 프로젝트 운영자금이 필요한 개인이 다른 개인들에게 자금을 대출받는 개인과 개인 사이에서 이뤄지는 P2P 금융방식입니다.
인터넷 소액대출을 통해 자금이 필요한 개인 및 개인사업자에 자금을 지원하는 유형으로 펀딩참여자는 대출에 대한 이자 수입이 목적이 됩니다. 온라인 마이크로크레딧, P2P 금융(Peer to peer finance) 등이 이에 해당하며, 프로젝트 오너는 자금 확보와 함께 해당 프로젝트에 대한 시장성을 확인하고 대중들의 의견도 수렴해 볼 수 있는 효과가 있습니다.
증권형
증권형은 일반 투자시장에 상장되지 않은 스타트업이나 중소기업에 다수의 개인이 펀드를 만들어 투자하는 방식으로 그 보상을 주식이나 채권 등의 증권으로 받게 됩니다.
스타트업과 같은 신생 기업, 소자본 창업자들에게 엔젤투자 형식으로 자금을 지원하는 유형으로 펀딩 투자자는 투자금액에 비례한 지분을 취득하여 프로젝트와 기업의 성장에 따라 수익을 얻게 되는 형태입니다.
크라우드 펀딩(Crowd Funding)사이트와 플랫폼 별 수수료
대표적인 크라우드펀딩 플랫폼과 사이트는 무엇이 있는지, 각각의 플랫폼별 특징과 수수료 등을 살펴보겠습니다.
텀블벅
- 홈페이지: https://www.tumblbug.com/
- 유형: 후원형(리워드 보상형)
- 플랫폼 수수료: 약 8%(기본 수수료 + 결제 수수료)
텀블벅은 주로 재능있는 창자자들이 자신의 프로젝트 진행자금을 펀딩하고 후원자들에게 리워드로 작품이나 기타 선물을 지급하는 펀딩을 주로 진행합니다.
와디즈
- 홈페이지: https://www.wadiz.kr
- 유형: 후원형(리워드 보상형), 증권형
- 플랫폼 수수료: 약 9.4%(기본 수수료 + 결제 수수료)
와디즈는 주로 새롭게 기획되고 디자인된 제품이나 서비스를 런칭하기 위한 펀딩, 공동구매 형식의 제품판매 등을 중심으로 다양한 프로젝트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해피빈
- 홈페이지: https://happybean.naver.com/crowdFunding/Home#
- 유형: 기부형
네이버 해피빈은 대표적인 기부형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이라 할 수 있습니다.
대중들은 네이버 활동을 통해 쌓거나 구매한 콩을 해피빈에 소개된 다양한 공익프로젝트 중 하나를 골라서 기부할 수 있고, 개인들의 펀딩이 쌓이면 네이버에서 매칭그랜트로 일정금액을 함께 기부하기도 합니다.
오마이컴퍼니
- 홈페이지: https://www.ohmycompany.com
- 유형: 후원형(리워드 보상형), 증권형
- 플랫폼 수수료: 기본 수수료7% + 결제 수수료 별도
비플러스
- 홈페이지: https://benefitplus.kr/
- 유형: 대출형, 후원형
비플러스도 오마이 컴퍼니와 마찬가지로 주로 임펙트 펀딩을 주로 다루고 있습니다. 사회적기업이나 소셜벤처, 로컬 및 기타 공익 프로젝트의 사회적 효과에 주목하고 투자하는 형태입니다.
크라우디
- 홈페이지: https://www.ycrowdy.com/
- 유형: 후원형, 증권형
- 플랫폼 수수료: 8%
크라우디는 스타트업이나 기술기반 프로젝트의 펀딩을 중심으로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외의 해외 사례로는 킥스타터 (https://www.kickstarter.com/)나 인디고고(https://www.indiegogo.com/), 로켓허브(https://www.rockethub.com/) 등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크라우드 펀딩(Crowd Funding)의 특징과 장점
크라우드펀딩은 다음과 같은 특징과 장점이 있기 때문에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데, 이를 살펴보시고 크라우드펀딩에 관심을 갖고 참여해 보시기 바라겠습니다.
1) 생산자와 소비자 사이의 관계 형성
크라우드펀딩의 가장 큰 특징은 생산자와 소비자와의 관계가 형성된다는 것입니다. 단지 제품이나 서비스의 거래가 아닌 메이커와 서포터의 관계가 형성되어 생산자는 소비자의 의견을 수렴하기도 하고 소비자는 생산자를 응원하고 지지하는 관계가 형성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2) 스토리기반의 가치 소비
크라우드펀딩은 펀딩 과정에서 제품이나 생산자의 스토리를 공유하게 됩니다. 어떤 목적에서 시작된 프로젝트인지, 누가 어떻게 생산하여 만들어 지는지, 그 제품이나 서비스에 담긴 가치나 의미는 무엇인지 등을 적극적으로 소개하고, 그에 공감한 사람들은 펀딩에 참여하게 되는 것이죠.
이 과정에서 최근 MZ세대가 중시한다고 하는 가치소비가 이뤄질 수 있습니다. 특히 사회적 기업이나 소셜임팩트를 가진 프로젝트를 주로 운영하는 펀딩 플랫폼을 통해서 가치소비를 더욱 활성화할 수 있을 것입니다.
3) 프로젝트의 시장성 테스트를 통한 리스크 관리
크라우드펀딩에 참여하는 생산자 입장에서는 크라우드펀딩이 일종의 테스트 배드의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프로젝트에 공감하는지 시장성을 파악해 보고, 잠재고객들의 의견을 수렴할 수 있습니다.
미리 고객을 확보한 뒤 제품을 런칭하는 프로세스를 통한 리스크 관리 측면의 장점도 있기 때문에 새롭게 시작하는 제품이나 프로젝트를 크라우드 펀딩을 통해 테스트해보는 것은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트렌드,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후 금융(Climate finance)의 개념과 친환경 에너지 투자 (0) | 2023.02.14 |
---|---|
노인 무임승차 나이 상향과 노인 연령 기준 조정 (0) | 2023.02.10 |
대한민국 중산층 소득기준과 중산층 인구비중 (0) | 2023.02.07 |
백종원의 예산 시장 살리기와 로컬 크리에이터(Local creator) (1) | 2023.01.12 |
2022년 연령별, 세대별 국내에서 가장 인기있는 앱 10가지 (0) | 2023.01.03 |
댓글